Post

Beelink 미니PC(MINI S N5095) 셋업 (3/4) - 윈도우 자동로그인

지난 글 정리

지난글에서는 영어 윈도우 미니PC 자동부팅을 설정했다; 전원재연결시와 특정시간대 자동 부팅

원하는 방향은 다음과 같다

  • 미니피시는 전원선과 인터넷선만 연결
    • 하고싶다면 인터넷선도 없이 가능하다
    • MINI S N5095 모델은 WiFi가 있음
  • 미니피시는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없다
  • 자동으로 부팅되고 자동으로 로그인되고, 자동으로 트레이더 키고 컴퓨터 종료해야함

이것을 다 자동화하고 싶기 때문에 윈도우 자동로그인을 등록해야한다

윈도우 자동로그인 설정하는 3가지 방법

자동로그인 설정하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추천하는 방법은 Sysinternals의 AutoLogon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netplwiz를 사용한 설정, 마지막에 레지스트리를 사용한 등록방법 순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Sysinternals - AugoLogon 사용하는 방법

설정법

  1. AutoLogon 페이지에서 도구를 다운로드 한다
    • 잘 모르겠으면 Autologon64.exe 실행 (요즘 대부분 컴퓨터는 64비트 운영체제)
    • 32비트 운영체제면 Autologon.exe 실행
    • 64비트 ARM 운영체제면 Autologon64a.exe 실행
  2. 아주 간단한 창이 하나 뜨는데 여기에 Username과 Password 입력 후 Enable 누르면 설정 완료
    • Autologon.png

netplwiz(사용자 계정 설정)을 사용하는 방법

이 방법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는… 최근 윈도우의 경우 대부분은 아래 설정법을 따라하기 전에 추가적인 조취를 취해야하기 때문이다. 보통 3.번 과정에서 체크박스가 뜨지 않음. AutoLogon 도구를 쓰는게 간단하다.

설정법

  1. Win + R 키를 눌러서 실행창을 띄운다
  2. netplwiz.exe 혹은 control userpasswords2 를 입력하고 실행
  3. 그러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는데 여기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 체크를 해제
    • 사진에서 “Users must enter a user name and password to use this computer” 라고 적힌 부분 netplwiz
  4. 확인을 누르고 패스워드 입력창이 뜨면 패스워드 입력

체크박스가 없을 경우

netplwiz에서 위와 같은 체크박스가 보이지 않으면 레지스트리를 수정하거나 로그인 설정에서 Windows Hello를 해제해야한다. 별로 효용성이 높지 않으므로 더 자세히 조사는 하지 않음

레지스트리 등록하는 방법

모든 방법 중 제일 보안적으로 취약하고 추천하지 않는 방법. 설정 방법이 쉽지도 않음

설정법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Win + R, regedit.exe 실행)
  2. 편집기에서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 경로 탐색
  3. 편집새로 만들기문자열 값 클릭하고 이름은 DefaultUserName 로 설정, 값은 로그인하고자 하는 계정명 입력
    • 이미 DefaultUserName 가 있으면 새로 생성하지 않아도 됨
  4. 동일한 방법으로 문자열 값 생성하고 이름은 DefaultPassword 로 설정, 값은 계정의 비밀번호 입력
    • 이미 DefaultPassword 가 있으면 새로 생성하지 않아도 됨
  5. 동일한 방법으로 문자열 값 생성하고 이름은 AutoAdminLogon로 설정, 값은 1로 입력

위험성

위에서 바로 감이 왔겠지만, DefaultPassword 에 내 비밀번호가 그대로 저장된다. 암호화처리나 해쉬처리가 전혀 안된채로 그대로 저장되기 때문에 매우 위험

  • 레지스트리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에 접근만 가능하다면 내 계정의 비밀번호가 그대로 털리게 된다.
  • 참고로 해당 서브키에 대해서 마우스 우클릭 후 사용권한을 확인하면 나오지만 일반 유저 계정도 읽기 권한이 있는 영역이다
  • 실수로 악성코드 하나라도 잘못 실행하면 내 비밀번호가 바로 털릴 수 있게 됨

보다 자세한 사항은 참고

  • MS 문서에서도 레지스트리를 수정하느니 그냥 AutoLogon 도구를 사용할것을 추천함

AutoLogon 도구의 경우 암호화하여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다만 악성코드가 관리자 권한까지 취득해버리면 이 경우도 비밀번호가 털릴 수 있으나 레지스트리 방식에 비하면 훨씬 더 안전하다

참고문서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